WeSA 아카데미는 사운드와 비주얼을 다루는 툴과 아트 코딩을 강의합니다. 커리큘럼은 미디어의 변화에 따라 유동적이며, WeSA 아티스트들도 강의에 참여해 최신 기술과 노하우를 전달합니다. 소규모 인원으로 진행함으로써 오디오비주얼 툴을 배우고자 하는 분에게 밀도 있는 학습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일시, 장소, 강의의 자세한 내용 등은 WeSA Academy 홈페이지(https://wesa.academy/)를 참고해주세요.
* 강의 안내 및 확정 공지는 기입하신 메일로 발송되오니 꼭 정확하게 입력해주시길 바랍니다. (수강 신청 후 2-3일 내로 발송됩니다. 스팸함을 잘 확인해 주세요.)
* '대기자 접수중'이라고 표시되어있는 강좌는 현재 정원 마감된 강좌들입니다. 대기를 원하시는 경우 강좌명 앞에 (대기)라고 붙어있는 상품을 구입해주시면 됩니다. 취소자 발생시 연락드리겠습니다.
* 환불규정 : 개강 전에는 전액 환불, 개강 후는 미수강일 수만큼 환불하며, 수업일수의 2/3가 경과한 이후는 취소할 수 없습니다. (소비자보호법 환불 규정에 준함)
강의 | 강사 | 강의 시간 | 개강(강의 횟수) |
Ableton Live를 통해 배우는 스타일리시 사운드 디자인 입문 | 윤지영 | 매주 토요일 10:00 ~ 12:45 | 1월 18일 개강(6회) *2월 22일은 휴강으로, 보강 일정은 추후 공지드립니다. |
Making Generative Ambient Music with Max | 원우리 | 매주 토요일 13:00 ~ 15:45 | 1월 18일 개강(4회) |
Visual Thinking - TouchDesigner 입문 | 카로 | 매주 일요일 10:00 ~ 12:45 | 1월 19일 개강(6회) |
Visual Thinking - TouchDesigner 중급 | 카로 | 매주 일요일 16:00~18:45 | 1월 19일 개강(6회) |
상호작용 장치의 이해를 위한 피지컬 컴퓨팅 | 엄기순 | 매주 토,일요일 13:00 ~ 15:45 | 2월 15일 개강(6회) *개강일 및 강의 요일에 유의하세요 |
[개설 과목]
Visual Thinking - TouchDesigner 입문
▶강의 개요
‘터치디자이너’라는 비주얼 프로그래밍 언어 및 환경을 소개해드리고 실제로 다양한 예제를 만들어보면서 사용법을 익히도록 합니다. 이후 터치디자이너를 자신있게 사용할 수 있고 자기만의 작업을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강의 대상
터치디자이너에 관심 있는 누구나.
▶필요한 준비 사항
2023.11340 버전 이후의 터치디자이너, 노트북 (Mac 혹은 Windows), 쓰리 버튼 마우스
▶강의 내용
Day 1. 터치디자이너란?
‘터치디자이너’라는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기본 인터페이스 및 내비게이션을 익힌 다음에 다양한 예제를 만들어보면서 오퍼레이터들을 소개합니다.
Day 2: 2D 비주얼 마스터하기.
TouchDesigner에서는 이미지를 자주 다루며, TOP 오퍼레이터 픽셀을 조작하는 주요 수단입니다. 파일 가져오기부터 시각적 효과 구축까지 이미지와 비디오를 다루는 방법을 살펴볼 겁니다.
Day 3: 3D 비주얼.
터치디자이너 내에 3D 비주얼 만드는 방법, 카메라 애니메이션, 인스턴싱, 라이팅 및 머티리얼 대해 알아봅니다.
Day 4: 오디오.
터치디자이너 내에 오디오 활용하는 방법, 오디오 분석 및 오디오 비주얼 만드는 방법을 소개 합니다.
Day 5: 인터페이스.
커스텀 파라미터와 단순한 영상 믹서 인터페이스를 제작해 봅니다.
Day 6: 터치디자이너 프로젝트 출력 및 최적화.
터치디자이너에서 만든 프로젝트를 렌더링 하거나, 실시간으로 다양한 형태로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그리고 실시간 비주얼을 만들 때 제일 중요한 “최적화" 대해 알아봅니다.
▶강사 소개
카로(Caroline Reize)는 오디오 비주얼 퍼포먼스 및 인터랙티브 설치 작업을 주로 하는 뉴미디어 아티스트이자 터치디자이너 교육자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의 ZER01NE <Z-LAB Project>(2022, 2023), 한국콘텐츠진흥원 <다빈치 프로젝트>(2019)에 참여하였으며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전시《반디산책: 지구와 화해하는 발걸음》(2022, 2023),《ZER01NE Day》(2020, 2021, 2022, 2023), 《WeSA Festival》(2021), 등에서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터치디자이너 워크숍과 강의를 세종대학교 및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 진행한 이력이 있고, 유튜브 채널과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사용자 커뮤니티를 키우는 데에 노력하고 있다.
Visual Thinking - TouchDesigner 중급
▶강의 개요
터치 디자이너 프로젝트에 많이 사용되는 기술들에 대하여 심도 있게 알아봅니다. 난이도 있는 결과물을 직접 만들어보면서 그에 필요한 기술들을 익혀나가다 보면, 중급 강의에서 배우는 내용들로 개인작업을 한층 업그레이드할 수 있을 겁니다.
▶강의 대상
터치디자이너의 기본 사용 용도 및 방법을 이해하고 있고, 난이도 있는 작업 해보고싶은 분.
▶필요한 준비 사항
2023.11340 버전 이후의 터치디자이너, 노트북 (Mac 혹은 Windows), 쓰리 버튼 마우스
▶강의 내용
Day 1: Converting between OPs and Instancing
이번 수업에서는 오퍼레이터 간의 데이터 유형 변환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원칙들을 살펴볼 것입니다. 또한 지오메트리 네트워크를 강화할 수 있는 인스턴싱 워크플로우도 살펴볼 것입니다.
DAY 2: Intermediate Image Manipulation
몇 개의 노드만으로 이미지 효과를 만들어내는 방법을 살펴볼 것입니다. 콘텐츠에 색상 필터를 추가하기 위한 LUT(룩업 테이블) 가져오기, 재사용 가능한 효과를 개발하는 방법을 배울 것입니다.
DAY 3: SOP Surfaces & 3D Files (SOP 표면 & 3D 파일)
SOP 오퍼레이터를 활용하여 복잡한 3D 표면을 구현하는 방법과 다양한 유형의 외부 3D 파일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DAY 4: Particle Systems (파티클 시스템)
Particle SOP 활용하여 파티클 시스템 제작.
DAY 5: Python in TouchDesigner (TouchDesigner에서 파이썬)
파이썬 입문한 다음에 TouchDesigner에서 파이썬 활용 방법을 다양한 예제를 통해 연습해 본다.
DAY 6: Time, Events and Data
TouchDesigner 프로젝트에서는 시간 활용이 매우 중요합니다. 시간은 애니메이션 시퀀스를 구동하거나, 사용자 상호작용을 추적하거나, 타임아웃을 설정하거나, 인터랙티브 경험의 상태를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번 수업에서는 이러한 개념들을 개별적으로 살펴보면서 각각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알아볼 것입니다.
▶강사 소개
카로(Caroline Reize)는 오디오 비주얼 퍼포먼스 및 인터랙티브 설치 작업을 주로 하는 뉴미디어 아티스트이자 터치디자이너 교육자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의 ZER01NE <Z-LAB Project>(2022, 2023), 한국콘텐츠진흥원 <다빈치 프로젝트>(2019)에 참여하였으며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전시《반디산책: 지구와 화해하는 발걸음》(2022, 2023),《ZER01NE Day》(2020, 2021, 2022, 2023), 《WeSA Festival》(2021), 등에서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터치디자이너 워크숍과 강의를 세종대학교 및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 진행한 이력이 있고, 유튜브 채널과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사용자 커뮤니티를 키우는 데에 노력하고 있다.
Making Generative Ambient Music with Max
자동 생성 엠비언트 음악을 위한 맥스
▶강의 개요
Max 프로그램의 구조를 활용하여 알고리즘 기반의 데이터 생성과 실시간 소리 합성을 시도합니다. 이를 통해 여러분만의 자동 생성 엠비언트 음악을 창의적으로 기획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Max 프로그램은 알고리즘을 활용한 데이터 처리에서 탁월하며, 동시에 소리 합성 프로그램으로서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기존의 DAW에서는 구현하기 어려운 유연한 시간성과 컴퓨터와 감상자 간의 상호작용적 가능성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자동 생성 엠비언트 음악을 만들어봅시다.
Max 프로그램이 처음이라도 걱정하지 마세요. 수업에 쉽게 따라올 수 있도록 입문자용 템플릿을 제공합니다. 프로그래밍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고, 절차적 사고와 전자음악에 대한 감각을 키우는 데 집중해보세요.
▶강의 대상
Max 프로그램에 입문하고 싶은 분
Max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사운드 설치, 공연을 하고 싶은 분
▶필요한 준비 사항
랩탑 컴퓨터 (Mac 혹은 Windows)
이어폰 또는 헤드폰
Max 프로그램 (www.cycling74.com, 1개월 무료, 8버전 이상 권장)
▶강의 계획
Day 1
-1차시: [Max] 데이터 변환의 관점에서 Max 데이터 다루기
-2차시: [Max] 데이터의 시간적 생성
-3차시: [MSP] 가산 합성에 대하여
Day 2
-4차시: [MSP] 진폭 변조에 대하여
-5차시: [MSP] 필터 적용하기
-6차시: [Max, MSP] 소리 합성 시스템에 시간적 변화를 적용하기
Day 3
-7차시: [MSP] 주파수 변조에 대하여
-8차시: [MSP] 되먹임 지연을 활용한 소리 합성에 대하여
-9차시: [Max, MSP] 비교-논리 연산자를 활용하여 음 발생하기
Day 4
-10차시: [MSP] 파형 테이블 읽기-쓰기 합성에 대하여
-11차시: [Max, MSP] 자동 생성 엠비언트를 위한 소리 합성 시스템 구축하기
-12차시: [Max, MSP] 자동 생성 엠비언트를 위한 음 발생 알고리듬 구축하기
▶강사 소개
작곡가 원우리 WONWOORI(a.k.a. 이원우)에게 컴퓨터 음악은 우리를 둘러싼 세계, 그리고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매체입니다. 우리가 사는 세계, 그리고 인간은 너무나 복잡해서 이해하기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작곡가 WONWOORI는 해석하고자 하는 대상의 데이터를 음악에서의 최소 성분인 정현파에 대입하고 분석합니다. 이 과정에서 작곡의 영감을 얻으며, 분석된 대상을 예술 매체의 중심에 세우기 위해 노력합니다. 특히 예술에서 소외되기 쉬운 대상을 조망하며 음악과 테크놀로지로 인간의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019년부터는 인공와우 사용자의 기계적 청감을 연구하며, 생리적-기계적 청감의 교류 속에서 음악의 본질은 무엇인지 탐구하고 있습니다. 2020년 WeSA Festival에 참가하여 공연하였으며, 제로원데이 2021-2022, 2023 파라다이스 아트랩 페스티벌에서 작품을 발표하며 전자음악가로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Ableton Live를 통해 배우는 스타일리시 사운드 디자인 입문
▶강의 개요
사운드는 셀 수 없이 많은 경로를 통해 만들 수 있지만, 이 수업에서는 사운드에 대한 기초 이론을 현대적 관점에서 해석함과 동시에 ‘Live’라는 툴과 ‘Live’의 내장 플러그인만으로 매력적인 소리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Live’는 전세계 전자음악가, 미디어 아티스트가 사랑하는 프로그램으로 쉽고 편리하게 작품 작업을 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사운드가 무엇인지 부터 내 손으로 사운드를 만드는 작업까지, 청각 예술가로서 첫 걸음을 내딛는데 있어서 유용한 과정이 될 것입니다.
▶ 강의 대상
Live가 처음인 분, 사운드 디자인에 관심은 있지만 어떻게 시작하는지 몰라 망설이는 분.
앞으로 Live를 활용한 사운드 디자인을 적용해 전자음악, 미디어 아트 작품을 만들고자 하는 분.
▶ 준비 사항
-Ableton Live 12 Suite 가 설치 되어 있는 노트북 컴퓨터(Mac 혹은 Windows). 다른 라이브 버전들의 사용은 입문 과정에선 크게 상관 없지만, 중급과정에서의 Max for Live 사용 연계로 인해 추천하지 않습니다.
-헤드폰
▶ 강의 내용
Day 1.사운드 디자인을 도와주는 라이브의 숨은 기능들
Day 2.필드 레코딩 기초, 사운드 합성법 기초 (Subtractive Synthesis)
Day 3.오디오 에디팅과 사운드 디자인으로써의 창의적 활용
Day 4.트렌디한 이펙터의 사용법
Day 5.사운드에서의 텍스쳐 디자인
Day 6.지금까지 디자인한 사운드를 작곡에 활용하는 방법
▶ 강사 소개
윤지영 | 전자음악 작곡가이자, 사운드 디자이너 / 뉴 미디어 아티스트 이다. 한국 예술 종합 학교에서 뮤직 테크놀러지-컴퓨터 작곡, 독일 프란츠 리스트 국립 음대에서 전자음악 작곡, 바우하우스 국립 대학교에서 미디어 아트를 전공하였다. 사운드를 독특한 방식으로 디자인 하고, 첨단의 테크놀러지를 접목 시켜 창작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국내외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 하였으며, 대표작으로는 영화 ‘Secrets about Helena’ (음악/사운드), ‘Socialens’ (음악/사운드), 넷플릭스 시리즈 ‘좋아하면 울리는’ (사운드) 이 있다. 2023년에는 국내 최초 소리 연구 기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ACC)의 사운드 아티스트/연구원 으로 활동하며 여러 작품을 만들었다. klof라는 이름으로 테크노 디제이 활동을 하고 있으며, 익스페리멘틀, 오디오 비주얼 라이브 또한 활발히 선보이고 있다.
상호작용 장치의 이해를 위한 피지컬 컴퓨팅
▶ 강의 개요
이 강좌는 전자 하드웨어를 다루어 예술적 영감을 찾고 싶은 창작자를 위한 “피지컬 컴퓨팅” 수업입니다.
초보자를 대상으로 한 이 수업은 스크린에서 밖으로 빠져나와 현실 세계에서 벌어지는 물리적 컴퓨팅을 이해하고, 인간과 사물이 소통하는 방법에 집중하여 표현을 시도합니다.
이 과정을 마치게 된다면 작품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도구와 지식을 손에 넣을 것입니다. 수업에서는 대표적인 오픈소스 하드웨어 플랫폼인 아두이노(Arduino)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사용합니다. 아두이노는 전자지식이 부족한 창작자들을 위한 진입 장벽이 낮은 하드웨어 디바이스로, 전자 부품을 연결하고 프로그래밍을 통해 원하는 동작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참고: 피지컬 컴퓨팅이란 물리장치(LED, 모터 등)을 제어하기 위해 현실세상의 정보(빛, 힘 등)와 소통하는 과정을 구성하는 것입니다.
▶ 강의 대상
피지컬 컴퓨팅이 처음이거나 또는 다시 도전하고 싶은 초보자
스크린을 벗어나 작업을 시도하거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자신의 작품에 적용하고 싶은 분.
장치의 동작을 직접 제어해보고 싶은 분
▶ 준비 사항
*노트북(os상관없음), 피지컬 컴퓨팅 키트
▶강의 내용
[DAY1] 피지컬 컴퓨팅의 개념과 도구의 이해와 디지털 출력 기초
아두이노 플랫폼을 이용한 피지컬 컴퓨팅 과정 이해
아두이노에서 사용되는 기본 명령어를 이용한 디지털 출력 실습
[DAY2] 디지털 입출력 과정의 이해
아두이노 보드 회로 분석
아두이노 하드웨어와 디지털 명령어 이해.
[DAY3] 아날로그 입출력 과정의 이해
아날로그 명령어의 이해
기본 센서의 제어
[DAY4] 장치간의 소통
시리얼 통신 / 블루투스 /
[DAY5] 확장하기
외부 라이브러리 또는 장치의 활용
[DAY6] 아주 간단한 동작장치 만들기
일상의 사물을 해킹하여 인터랙션 장치 구현하기
▶ 강사 소개
엄기순 | 조립 장난감, 완구, 키트 형태의 무언가 만들 수 있는 장치를 좋아하며, 작은 전자장치를 이용한 작업의 과정을 즐긴다. 잊혀져가는 디지털 매체와 그 속에 담긴 이야기를 발견하고, 그것들을 다시 우리가 느낄 수 있도록 감각적인 작품으로 재탄생시키거나, 워크숍을 통해 사람들과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속에서, 전자장치의 미학을 탐구하여 시대적관점을 넘나들 수 있는 작업을 시도하려 한다. 최근에는 컴퓨터 교육분야에서 학업을 이어가며 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창의적 활동을 연구중이다
WeSA 아카데미는 사운드와 비주얼을 다루는 툴과 아트 코딩을 강의합니다. 커리큘럼은 미디어의 변화에 따라 유동적이며, WeSA 아티스트들도 강의에 참여해 최신 기술과 노하우를 전달합니다. 소규모 인원으로 진행함으로써 오디오비주얼 툴을 배우고자 하는 분에게 밀도 있는 학습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일시, 장소, 강의의 자세한 내용 등은 WeSA Academy 홈페이지(https://wesa.academy/)를 참고해주세요.
* 강의 안내 및 확정 공지는 기입하신 메일로 발송되오니 꼭 정확하게 입력해주시길 바랍니다. (수강 신청 후 2-3일 내로 발송됩니다. 스팸함을 잘 확인해 주세요.)
* '대기자 접수중'이라고 표시되어있는 강좌는 현재 정원 마감된 강좌들입니다. 대기를 원하시는 경우 강좌명 앞에 (대기)라고 붙어있는 상품을 구입해주시면 됩니다. 취소자 발생시 연락드리겠습니다.
* 환불규정 : 개강 전에는 전액 환불, 개강 후는 미수강일 수만큼 환불하며, 수업일수의 2/3가 경과한 이후는 취소할 수 없습니다. (소비자보호법 환불 규정에 준함)
강의 | 강사 | 강의 시간 | 개강 (강의 횟수) |
Ableton Live를 통해 배우는 스타일리시 사운드 디자인 입문 | 윤지영 | 매주 토요일 10:00 ~ 12:45 | 1월 18일 개강(6회) *2월 22일은 휴강으로, 보강 일정은 추후 공지드립니다. |
Making Generative Ambient Music with Max | 원우리 | 매주 토요일 13:00 ~ 15:45 | 1월 18일 개강 (4회) |
Visual Thinking - TouchDesigner 입문 | 카로 | 매주 일요일 10:00 ~ 12:45 | 1월 19일 개강 (6회) |
Visual Thinking - TouchDesigner 중급 | 카로 | 매주 일요일 16:00 ~ 18:45 | 1월 19일 개강 (6회) |
상호작용 장치의 이해를 위한 피지컬 컴퓨팅 | 엄기순 | 매주 토,일요일 13:00 ~ 15:45 | 2월 15일 개강 (6회) *개강일 및 강의 요일에 유의하세요 |
[개설 과목]
Visual Thinking - TouchDesigner 입문
▶강의 개요
‘터치디자이너’라는 비주얼 프로그래밍 언어 및 환경을 소개해드리고 실제로 다양한 예제를 만들어보면서 사용법을 익히도록 합니다. 이후 터치디자이너를 자신있게 사용할 수 있고 자기만의 작업을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강의 대상
터치디자이너에 관심 있는 누구나.
▶필요한 준비 사항
2023.11340 버전 이후의 터치디자이너, 노트북 (Mac 혹은 Windows), 쓰리 버튼 마우스
▶강의 내용
Day 1. 터치디자이너란?
‘터치디자이너’라는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기본 인터페이스 및 내비게이션을 익힌 다음에 다양한 예제를 만들어보면서 오퍼레이터들을 소개합니다.
Day 2: 2D 비주얼 마스터하기.
TouchDesigner에서는 이미지를 자주 다루며, TOP 오퍼레이터 픽셀을 조작하는 주요 수단입니다. 파일 가져오기부터 시각적 효과 구축까지 이미지와 비디오를 다루는 방법을 살펴볼 겁니다.
Day 3: 3D 비주얼.
터치디자이너 내에 3D 비주얼 만드는 방법, 카메라 애니메이션, 인스턴싱, 라이팅 및 머티리얼 대해 알아봅니다.
Day 4: 오디오.
터치디자이너 내에 오디오 활용하는 방법, 오디오 분석 및 오디오 비주얼 만드는 방법을 소개 합니다.
Day 5: 인터페이스.
커스텀 파라미터와 단순한 영상 믹서 인터페이스를 제작해 봅니다.
Day 6: 터치디자이너 프로젝트 출력 및 최적화.
터치디자이너에서 만든 프로젝트를 렌더링 하거나, 실시간으로 다양한 형태로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그리고 실시간 비주얼을 만들 때 제일 중요한 “최적화" 대해 알아봅니다.
▶강사 소개
카로(Caroline Reize)는 오디오 비주얼 퍼포먼스 및 인터랙티브 설치 작업을 주로 하는 뉴미디어 아티스트이자 터치디자이너 교육자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의 ZER01NE <Z-LAB Project>(2022, 2023), 한국콘텐츠진흥원 <다빈치 프로젝트>(2019)에 참여하였으며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전시《반디산책: 지구와 화해하는 발걸음》(2022, 2023),《ZER01NE Day》(2020, 2021, 2022, 2023), 《WeSA Festival》(2021), 등에서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터치디자이너 워크숍과 강의를 세종대학교 및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 진행한 이력이 있고, 유튜브 채널과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사용자 커뮤니티를 키우는 데에 노력하고 있다.
Visual Thinking - TouchDesigner 중급
▶강의 개요
터치 디자이너 프로젝트에 많이 사용되는 기술들에 대하여 심도 있게 알아봅니다. 난이도 있는 결과물을 직접 만들어보면서 그에 필요한 기술들을 익혀나가다 보면, 중급 강의에서 배우는 내용들로 개인작업을 한층 업그레이드할 수 있을 겁니다.
▶강의 대상
터치디자이너의 기본 사용 용도 및 방법을 이해하고 있고, 난이도 있는 작업 해보고싶은 분.
▶필요한 준비 사항
2023.11340 버전 이후의 터치디자이너, 노트북 (Mac 혹은 Windows), 쓰리 버튼 마우스
▶강의 내용
Day 1: Converting between OPs and Instancing
이번 수업에서는 오퍼레이터 간의 데이터 유형 변환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원칙들을 살펴볼 것입니다. 또한 지오메트리 네트워크를 강화할 수 있는 인스턴싱 워크플로우도 살펴볼 것입니다.
DAY 2: Intermediate Image Manipulation
몇 개의 노드만으로 이미지 효과를 만들어내는 방법을 살펴볼 것입니다. 콘텐츠에 색상 필터를 추가하기 위한 LUT(룩업 테이블) 가져오기, 재사용 가능한 효과를 개발하는 방법을 배울 것입니다.
DAY 3: SOP Surfaces & 3D Files (SOP 표면 & 3D 파일)
SOP 오퍼레이터를 활용하여 복잡한 3D 표면을 구현하는 방법과 다양한 유형의 외부 3D 파일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DAY 4: Particle Systems (파티클 시스템)
Particle SOP 활용하여 파티클 시스템 제작.
DAY 5: Python in TouchDesigner (TouchDesigner에서 파이썬)
파이썬 입문한 다음에 TouchDesigner에서 파이썬 활용 방법을 다양한 예제를 통해 연습해 본다.
DAY 6: Time, Events and Data
TouchDesigner 프로젝트에서는 시간 활용이 매우 중요합니다. 시간은 애니메이션 시퀀스를 구동하거나, 사용자 상호작용을 추적하거나, 타임아웃을 설정하거나, 인터랙티브 경험의 상태를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번 수업에서는 이러한 개념들을 개별적으로 살펴보면서 각각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알아볼 것입니다.
▶강사 소개
카로(Caroline Reize)는 오디오 비주얼 퍼포먼스 및 인터랙티브 설치 작업을 주로 하는 뉴미디어 아티스트이자 터치디자이너 교육자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의 ZER01NE <Z-LAB Project>(2022, 2023), 한국콘텐츠진흥원 <다빈치 프로젝트>(2019)에 참여하였으며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전시《반디산책: 지구와 화해하는 발걸음》(2022, 2023),《ZER01NE Day》(2020, 2021, 2022, 2023), 《WeSA Festival》(2021), 등에서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터치디자이너 워크숍과 강의를 세종대학교 및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 진행한 이력이 있고, 유튜브 채널과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사용자 커뮤니티를 키우는 데에 노력하고 있다.
Making Generative Ambient Music with Max
자동 생성 엠비언트 음악을 위한 맥스
▶강의 개요
Max 프로그램의 구조를 활용하여 알고리즘 기반의 데이터 생성과 실시간 소리 합성을 시도합니다. 이를 통해 여러분만의 자동 생성 엠비언트 음악을 창의적으로 기획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Max 프로그램은 알고리즘을 활용한 데이터 처리에서 탁월하며, 동시에 소리 합성 프로그램으로서 무한한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기존의 DAW에서는 구현하기 어려운 유연한 시간성과 컴퓨터와 감상자 간의 상호작용적 가능성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자동 생성 엠비언트 음악을 만들어봅시다.
Max 프로그램이 처음이라도 걱정하지 마세요. 수업에 쉽게 따라올 수 있도록 입문자용 템플릿을 제공합니다. 프로그래밍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고, 절차적 사고와 전자음악에 대한 감각을 키우는 데 집중해보세요.
▶강의 대상
Max 프로그램에 입문하고 싶은 분
Max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사운드 설치, 공연을 하고 싶은 분
▶필요한 준비 사항
랩탑 컴퓨터 (Mac 혹은 Windows)
이어폰 또는 헤드폰
Max 프로그램 (www.cycling74.com, 1개월 무료, 8버전 이상 권장)
▶강의 계획
Day 1
-1차시: [Max] 데이터 변환의 관점에서 Max 데이터 다루기
-2차시: [Max] 데이터의 시간적 생성
-3차시: [MSP] 가산 합성에 대하여
Day 2
-4차시: [MSP] 진폭 변조에 대하여
-5차시: [MSP] 필터 적용하기
-6차시: [Max, MSP] 소리 합성 시스템에 시간적 변화를 적용하기
Day 3
-7차시: [MSP] 주파수 변조에 대하여
-8차시: [MSP] 되먹임 지연을 활용한 소리 합성에 대하여
-9차시: [Max, MSP] 비교-논리 연산자를 활용하여 음 발생하기
Day 4
-10차시: [MSP] 파형 테이블 읽기-쓰기 합성에 대하여
-11차시: [Max, MSP] 자동 생성 엠비언트를 위한 소리 합성 시스템 구축하기
-12차시: [Max, MSP] 자동 생성 엠비언트를 위한 음 발생 알고리듬 구축하기
▶강사 소개
작곡가 원우리 WONWOORI(a.k.a. 이원우)에게 컴퓨터 음악은 우리를 둘러싼 세계, 그리고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매체입니다. 우리가 사는 세계, 그리고 인간은 너무나 복잡해서 이해하기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작곡가 WONWOORI는 해석하고자 하는 대상의 데이터를 음악에서의 최소 성분인 정현파에 대입하고 분석합니다. 이 과정에서 작곡의 영감을 얻으며, 분석된 대상을 예술 매체의 중심에 세우기 위해 노력합니다. 특히 예술에서 소외되기 쉬운 대상을 조망하며 음악과 테크놀로지로 인간의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2019년부터는 인공와우 사용자의 기계적 청감을 연구하며, 생리적-기계적 청감의 교류 속에서 음악의 본질은 무엇인지 탐구하고 있습니다. 2020년 WeSA Festival에 참가하여 공연하였으며, 제로원데이 2021-2022, 2023 파라다이스 아트랩 페스티벌에서 작품을 발표하며 전자음악가로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Ableton Live를 통해 배우는 스타일리시 사운드 디자인 입문
▶강의 개요
사운드는 셀 수 없이 많은 경로를 통해 만들 수 있지만, 이 수업에서는 사운드에 대한 기초 이론을 현대적 관점에서 해석함과 동시에 ‘Live’라는 툴과 ‘Live’의 내장 플러그인만으로 매력적인 소리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Live’는 전세계 전자음악가, 미디어 아티스트가 사랑하는 프로그램으로 쉽고 편리하게 작품 작업을 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사운드가 무엇인지 부터 내 손으로 사운드를 만드는 작업까지, 청각 예술가로서 첫 걸음을 내딛는데 있어서 유용한 과정이 될 것입니다.
▶ 강의 대상
Live가 처음인 분, 사운드 디자인에 관심은 있지만 어떻게 시작하는지 몰라 망설이는 분.
앞으로 Live를 활용한 사운드 디자인을 적용해 전자음악, 미디어 아트 작품을 만들고자 하는 분.
▶ 준비 사항
-Ableton Live 12 Suite 가 설치 되어 있는 노트북 컴퓨터(Mac 혹은 Windows). 다른 라이브 버전들의 사용은 입문 과정에선 크게 상관 없지만, 중급과정에서의 Max for Live 사용 연계로 인해 추천하지 않습니다.
-헤드폰
▶ 강의 내용
Day 1.사운드 디자인을 도와주는 라이브의 숨은 기능들
Day 2.필드 레코딩 기초, 사운드 합성법 기초 (Subtractive Synthesis)
Day 3.오디오 에디팅과 사운드 디자인으로써의 창의적 활용
Day 4.트렌디한 이펙터의 사용법
Day 5.사운드에서의 텍스쳐 디자인
Day 6.지금까지 디자인한 사운드를 작곡에 활용하는 방법
▶ 강사 소개
윤지영 | 전자음악 작곡가이자, 사운드 디자이너 / 뉴 미디어 아티스트 이다. 한국 예술 종합 학교에서 뮤직 테크놀러지-컴퓨터 작곡, 독일 프란츠 리스트 국립 음대에서 전자음악 작곡, 바우하우스 국립 대학교에서 미디어 아트를 전공하였다. 사운드를 독특한 방식으로 디자인 하고, 첨단의 테크놀러지를 접목 시켜 창작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국내외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 하였으며, 대표작으로는 영화 ‘Secrets about Helena’ (음악/사운드), ‘Socialens’ (음악/사운드), 넷플릭스 시리즈 ‘좋아하면 울리는’ (사운드) 이 있다. 2023년에는 국내 최초 소리 연구 기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ACC)의 사운드 아티스트/연구원 으로 활동하며 여러 작품을 만들었다. klof라는 이름으로 테크노 디제이 활동을 하고 있으며, 익스페리멘틀, 오디오 비주얼 라이브 또한 활발히 선보이고 있다.
상호작용 장치의 이해를 위한 피지컬 컴퓨팅
▶ 강의 개요
이 강좌는 전자 하드웨어를 다루어 예술적 영감을 찾고 싶은 창작자를 위한 “피지컬 컴퓨팅” 수업입니다.
초보자를 대상으로 한 이 수업은 스크린에서 밖으로 빠져나와 현실 세계에서 벌어지는 물리적 컴퓨팅을 이해하고, 인간과 사물이 소통하는 방법에 집중하여 표현을 시도합니다.
이 과정을 마치게 된다면 작품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인 도구와 지식을 손에 넣을 것입니다. 수업에서는 대표적인 오픈소스 하드웨어 플랫폼인 아두이노(Arduino)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사용합니다. 아두이노는 전자지식이 부족한 창작자들을 위한 진입 장벽이 낮은 하드웨어 디바이스로, 전자 부품을 연결하고 프로그래밍을 통해 원하는 동작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참고: 피지컬 컴퓨팅이란 물리장치(LED, 모터 등)을 제어하기 위해 현실세상의 정보(빛, 힘 등)와 소통하는 과정을 구성하는 것입니다.
▶ 강의 대상
피지컬 컴퓨팅이 처음이거나 또는 다시 도전하고 싶은 초보자
스크린을 벗어나 작업을 시도하거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자신의 작품에 적용하고 싶은 분.
장치의 동작을 직접 제어해보고 싶은 분
▶ 준비 사항
*노트북(os상관없음), 피지컬 컴퓨팅 키트
▶강의 내용
[DAY1] 피지컬 컴퓨팅의 개념과 도구의 이해와 디지털 출력 기초
아두이노 플랫폼을 이용한 피지컬 컴퓨팅 과정 이해
아두이노에서 사용되는 기본 명령어를 이용한 디지털 출력 실습
[DAY2] 디지털 입출력 과정의 이해
아두이노 보드 회로 분석
아두이노 하드웨어와 디지털 명령어 이해.
[DAY3] 아날로그 입출력 과정의 이해
아날로그 명령어의 이해
기본 센서의 제어
[DAY4] 장치간의 소통
시리얼 통신 / 블루투스 /
[DAY5] 확장하기
외부 라이브러리 또는 장치의 활용
[DAY6] 아주 간단한 동작장치 만들기
일상의 사물을 해킹하여 인터랙션 장치 구현하기
▶ 강사 소개
엄기순 | 조립 장난감, 완구, 키트 형태의 무언가 만들 수 있는 장치를 좋아하며, 작은 전자장치를 이용한 작업의 과정을 즐긴다. 잊혀져가는 디지털 매체와 그 속에 담긴 이야기를 발견하고, 그것들을 다시 우리가 느낄 수 있도록 감각적인 작품으로 재탄생시키거나, 워크숍을 통해 사람들과 공유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속에서, 전자장치의 미학을 탐구하여 시대적관점을 넘나들 수 있는 작업을 시도하려 한다. 최근에는 컴퓨터 교육분야에서 학업을 이어가며 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창의적 활동을 연구중이다